뜻
"폐결절"이란 폐에 생긴 비정상적으로 커진 덩어리를 의미합니다. 폐결절은 질병명이 아니라, 다른 원인 질환에 의해 관찰되는 영상학적 소견입니다. 폐결절은 주로 폐 내부에서 관찰되는 3cm 이하의 결절(종괴, 덩어리)을 의미합니다. 폐결절이 1개만 있는 경우를 고립성 폐결절, 여러 개 있는 경우를 다발성 폐결절이라고 합니다.
증상
일반적으로 아무런 증상이 없습니다. 그러나 폐결절이 커지거나 폐에 압력을 가하면 아래의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기침 : 폐결절이 크거나 위치가 중요한 부위에 있을 경우, 기침이나 만성 기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호흡 곤란 : 폐결절이 폐의 기능을 감소시키거나 폐를 압박하는 경우, 호흡 곤란이나 숨 가쁨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가래 : 일반적인 폐질환의 증상과 유사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가슴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체중 감소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피로감이 들 수 있습니다.
진단
주로 영상 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합니다. 흉부 엑스선 검사에서는 과거에 촬영한 검사 결과를 비교해야 합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폐결핵에 의한 결핵종이 흔하기 때문에 감별 진단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수년간 크기 변화가 없거나 석회화가 있으면 악성의 가능성이 낮다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진단이 불분명한 경우에는 조직 검사를 시행합니다.
- 엑스레이 : 결절은 X-레이에서 반점 또는 그림자로 나타납니다.
- 컴퓨터단층촬영(CT) 스캔 : 결절의 더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합니다.
- 조직검사 : 폐 조직의 작은 부분을 수집하여 추가 검사를 위해 수행됩니다.
- 기관 지경 검사 : 이 절차에는 결절을 보기 위해 카메라를 폐에 삽입하는 튜브가 포함되어 있어 결절을 선명하게 볼 수 있습니다.
- PET-CT 스캔 : 이 절차는 방사선 추적기를 사용하여 암과 같은 신진대사 활성 병변과 비신진대사 활성 병변을 구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치료
결절의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폐결절의 크기가 작다면 추적 관찰이 필요하며, 결절 크기가 크다면 조직 검사를 해야 합니다. 조직 검사에서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되고 림프절 전이가 없으면, 이는 폐암 1기입니다. 최근에는 폐결절 진단과 동시에 치료 목적으로 시행되는 수술인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수술'이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 감염성 질환에 의한 폐결절 : 결핵이나 곰팡이 감염 등 감염성 질환에 의한 폐결절의 경우, 원인균에 대한 약물 치료를 시행합니다.
- 폐암 : 폐암으로 진단된 경우에는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 등을 시행합니다.
- 전이성 암 : 전이성 암인 경우에는 원발암에 맞추어 치료합니다.
- 양성 종양 : 양성 종양인 경우에는 대부분 경과를 관찰하지만, 경우에 따라 수술이 시행되기도 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다공증 뜻, 증상, 치료, 원인 (1) | 2024.01.16 |
---|---|
섬망 뜻, 증상, 치료, 원인 (1) | 2024.01.15 |
구강암 뜻, 증상, 진단, 치료, 원인 (1) | 2024.01.13 |
여드름 뜻, 증상, 진단, 치료, 원인 (0) | 2024.01.12 |
게실염 뜻, 증상, 치료, 합병증, 원인 (1) | 2024.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