뜻
자궁을 대부분 이루고 있는 평활근에 생기는 종양이며 양성질환입니다. 자궁근종은 자궁 내에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장막하, 점막하 나뉩니다. 여성에서 매우 흔하게 발생하는 질병이며, 35세 이상의 여성에게 40~50% 나타납니다.
증상
증상이 없는 경우가 절반 정도 되고,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자궁근종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월경과다와 생리통이 심해지는 것이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 과도한 월경 출혈 : 월경 기간 동안 흔히 발생합니다. 하루에 중형 생리대 8개 이상을 사용한다면 생리 과다로 볼 수 있습니다.
- 7일 이상 지속되는 월경이 나타납니다.
- 골반 부위의 부푼 느낌이 듭니다.
- 잦은 배뇨 : 자궁근종이 커지면서 자궁 주변의 장기인 방광이나 직장을 압박해 소변을 자주 보게 됩니다.
- 방광을 비우는데 문제가 있습니다.
- 변비가 나타납니다.
- 척추 또는 다리에 통증이 나타납니다.
- 월경통 : 평소 생리통이 없었는데 갑작스럽게 심해지거나, 3개월 전과 비교했을 때 생리통이 심해진 경우, 생리 중이 아닐 때도 생리통과 같은 통증이 느껴진다면 자궁근종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 성교 시 통증이 나타납니다.
- 빈뇨가 나타납니다.
- 불임 및 생식기능이상이 나타납니다.
치료
여러 가지의 치료 방법이 있습니다. 환자의 연령, 폐경 여부, 증상 유무 및 정도, 자궁근종의 변화 양상, 임신을 원하는지 여부, 자궁보존을 원하는지 여부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가장 적합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약물 치료 : 생식샘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효능제가 대표적입니다. 큰 자궁근종을 갖고 있으면서 임신을 원하거나, 당장 수술이 곤란한 환자들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효과는 일시적이고 에스트로겐 결핍에 따른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수술 치료 : 자궁근종절제술과 자궁절제술이 있습니다. 자궁근종절제술은 자궁근종만을 제거하고 봉합하는 수술입니다. 임신을 원하지만 자궁근종으로 인해 난임, 불임, 유산 등이 유발될 경우, 자궁근종절제술이 권장됩니다. 자궁절제술은 자궁 전체를 제거하는 수술입니다.
- 비수술 치료 : 자궁동맥 색전술(UAE), 고강도 집속초음파 치료인 하이푸(HIFU) 등이 있습니다. 이들 치료법은 자궁을 보존하면서 자궁근종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원인
원인은 아직 밝혀진 것이 없습니다. 여러 연구에서 자궁의 평활근을 이루는 세포 중 하나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하나의 자궁근종을 이루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 호르몬 변화 : 정기적인 월경주기 동안 변하는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 호르몬은 섬유종의 성장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 임신 : 임신 중 호르몬 변화로 인해 섬유종 발생 위험이 더 높습니다.
- 나이 : 30세 이후 더 흔합니다.
- 유전성 : 가족력은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과체중 또는 비만인경우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비타민 D 결핍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예방
- 생리 기간 중에는 부부관계를 가급적 삼갑니다.
- 차가운 음료와 같이 자극적인 것을 피합니다.
- 몸에 압박을 줄 정도로 조이거나 통풍이 잘 안 되는 옷은 혈액 순환을 방해하므로 입지 않습니다.
- 비만 혹은 과체중은 자궁근종 발육을 촉진하기에 체중 유지에 신경을 씁니다.
- 변비는 에스트로겐이라는 호르몬을 증가시키기에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섭취합니다.
- 전자파는 지방 조직을 더욱 단단하게 해서 종양화 하기에 전자파를 피합니다.
- 스트레스는 자궁근종을 악화시키기에 심신 안정을 유지합니다.
- 반신욕과 족욕으로 혈액 순환을 도와줍니다.
- 규칙적인 운동은 전반적인 건강 증진뿐만 아니라 여성호르몬의 과잉 분비를 막아주며 체중 조절과 스트레스 관리에도 크게 도움이 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궁내막증 뜻, 증상, 치료, 원인, 예방, 음식 (1) | 2023.12.03 |
---|---|
수족냉증 뜻, 증상, 치료, 원인, 예방 (1) | 2023.12.02 |
부정맥 뜻, 증상, 치료, 검사, 원인, 음식 (0) | 2023.11.30 |
파킨슨병 뜻, 증상, 치료, 진단, 원인 (1) | 2023.11.29 |
심근염 뜻, 증상, 치료, 검사, 원인 (1) | 2023.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