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수족냉증 뜻, 증상, 치료, 원인, 예방

by getting to know 2023. 12. 2.

추위를 느끼지 않을 온도에서 손이나 발이 지나치게 차가운 상태를 의미합니다. 추위 등 외부 자극에 의해 혈관이 수축되면서 손과 발 같은 말초 부위에 혈액이 적게 공급되어 발생합니다. 출산이나 폐경과 같은 호르몬 변화, 스트레스와 같은 정신적 긴장으로 인해 발생하기도 합니다.

 

 

증상

  1. 환부 냉감, 시림 : 따듯한 곳에서도 손과 발의 냉감을 호소합니다. 때로는 무릎이 시리며 아랫배, 허리 등 다양한 신체 부위에서 냉기를 느끼기도 합니다.
  2. 추운 날 실내에서 실외로 나갈 시 손발이 하얗거나 퍼렇게 질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3. 스트레스를 받을 때도 손발이 차가워지며 색이 변하기도 합니다.
  4. 여름에도 양말을 신고 잠을 자야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5. 주로 남자보다 여성에게 더 많이 발생합니다. 특히 출산을 끝낸 여성이나 40대 이상의 중년 여성에게 많이 나타납니다.

 

 

치료

  1. 생활습관 개선 : 손과 발뿐만 아니라 몸 전체를 따뜻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강도 유산소 운동을 통해 신체 전반에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꽉 조이는 옷을 피하며,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따뜻한 물에 반신욕과 족욕을 하며, 혈관을 수축시키는 약제를 피하는 등의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2. 양방병원 치료 : 양방에서는 수족냉증을 유발하는 각 원인을 분석하여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 방법을 진행합니다. 주로 혈액순환을 돕는 약물을 처방하여 말초현관까지 피가 잘 돌게 하며 생활습관, 식습관 교정을 통해 수족냉증의 증상을 완화하는 방법을 환자에게 추천합니다.
  3. 한의원 치료 : 한의원에서는 수족냉증의 원인을 체질에 중점을 두어 파악하고, 체성분 검사, 적외선 체열 진단 점사, 경락 기능 검사 등을 통해 냉증 검사 척도표를 만들어 수족냉증 치료 방법을 환자 개인에 맞춤식으로 제공합니다. 한의원에서 주로 처방하는 수족냉증 치료 방법에는 복부의 소화장기와 하반신에 따뜻한 기운을 넣어주는 온돌뜸요법, 수족냉증 한약 처방을 통한 면역력 향상, 약침 등이 있습니다.

 

원인

  1. 추위와 같은 외부 자극 : 추위와 같은 외부 자극에 교감 신경이 크게 반응해 예민해져 혈관이 수축되면서 손이나 발과 같은 말초 부위에 혈액 공급이 줄어들게 되어 원활한 혈액 순환이 되지 않기 때문에 과도하게 냉기를 느끼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호르몬 변화 : 출산이나 폐경과 같은 호르몬 변화도 수족냉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3. 스트레스와 같은 정신적 긴장 : 스트레스와 같은 정신적 긴장도 수족냉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4. 혈액순환, 갑상선 기능 저하, 감염 등 : 혈액순환, 갑상선 기능 저하, 감염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예방

수족냉증 자체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합니다. 이미 수족냉증이 있는 사람의 경우라면 추위를 피하는 것이 증상을 완화시키는 제일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

  1. 중강도 유산소 운동 : 신체 전반에 혈액 순환을 촉진하는 등산, 계단 오르기, 빠르게 걷기 등의 운동을 30분 정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2. 추위로부터 몸 보호 : 한겨울에는 내복부터 두꺼운 외투까지 무장해 추위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손에는 장갑을 끼고, 발에는 두꺼운 양말을 신어 체온을 보호합니다.
  3. 따뜻한 물에 족욕이나 반신욕 : 하루 20분 정도 따뜻한 물에 족욕이 나 반신욕을 해주면 좋습니다.
  4. 흡연과 금주를 줄이기 : 신체 면역을 높이는 지름길입니다.
  5. 혈관을 수축하는 의약품 복용을 자제하기 : 경구 피임약, 혈압약, 심장약, 호르몬 약 등 혈관을 수축하는 의약품은 의사 상담하에 복용할 것입니다.
  6. 충분한 숙면 :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신체에 피를 잘 돌게 합니다.
  7. 혈액 순환을 방해하는 꽉 끼는 옷을 입지 않습니다.
  8. 모자, 목도리, 귀마개 등을 활용하여 몸 전체를 따뜻하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