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심근염 뜻, 증상, 치료, 검사, 원인

by getting to know 2023. 11. 28.

심장의 벽을 이루는 근육에 생기는 염증을 의미합니다. 주로 장바이러스 중 특히 콕사키 B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증상

  1. 운동 능력 저하 : 운동 능력이 저하됨을 느낍니다.
  2. 열 : 열과 같은 감기 증상입니다.
  3. 피로 : 피로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4. 근육통 : 근육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구토 및 설사 : 구토와 설사 같은 위장 장애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6. 가슴 통증 : 약 35% 환자에서 나타나게 됩니다. 찌르는 듯한 통증이나 쥐어짜는 듯한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7. 호흡곤란 : 환자는 숨 가쁨을 느낄 수 있습니다.
  8. 부기(부종) : 부기(부종) 느낄 수 있습니다.
  9. 급성 심부전에 의한 쇼크 : 급성 심부전에 의한 쇼크에서부터 가벼운 심부전 증상까지 다양합니다.

 

 

치료

치료 기간은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급성기에 감소된 심장 기능의 지지(약물, 경피적 삽입 기구들을 이용) 및 부정맥에 대한 적절한 처치를 하여 심부전의 합병증 발생에 대한 지지적 치료를 합니다. 심근염 자체에 대한 치료로는 현재까지 성공적인 치료법은 없습니다.

  1. 약물 치료 : 주로 약물 치료로 구성됩니다.
  2. 수술 : 중증화되는 경우에는 심장 이식을 고려하기도 합니다.
  3. 대증 치료 : 초기에는 안정을 취하고 약물 치료를 병행하면 호전될 수 있습니다.
  4. 진단 검사 : 신체검사 및 질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기타 검사가 포함됩니다. 심전도, 엑스레이, 자기 공명 영상(MRI), 심 초음파, 혈액 검사, 심장 카테터 삽입, 심내막심근생검 등이 있습니다.

 

검사

  1. 심전도 검사(ECG) : 동성빈맥, 낮은 전기적 활동, 급성 심근경색 양상, ST 분절 하강, T파 역전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혈액 검사 : 염증 수치 상승 정도, 심근 효소 수치 상승 정도, 백혈구 수치의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3. 심 초음파 검사 : 심장 기능 및 동반되는 다른 질환 확인, 심근경색 배제 여부 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4. 심장 CT, MRI 검사 : 비침습적으로 심근 괴사 진단, 심근의 부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심내막 심장 근육 생검 : 현미경으로 검사하기 위해 심장 내벽에서 조직 검체를 채취하는 것으로 심근염을 확진하기 위해 실시될 수 있습니다.
  6. 트로포닌 증가 : 심장이 손상되었을 때 존재하는 물질인 트로포닌의 수치를 측정합니다.

 

원인

  1. 감염성 원인 : 가장 흔한 원인은 바이러스 감염입니다. 아데노바이러스, 파보바이러스, 헤르페스바이러스, 장바이러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에코바이러스, 간염바이러스 및 거대세포바이러스 등이 심근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세균성으로는 전 세계적으로 디프테리아가 가장 흔하게 심근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도 포도알균을 비롯한 거의 모든 세균들이 심근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2. 독성 원인 : 의학적으로 사용되는 약제뿐만이 아니라 주변 환경에서의 여러 물질들이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3. 면역성 원인 : 면역학적 심근염을 일으키는 질병으로는 여러 가지 결체조직질환(루푸스, 루마티스성 관절염, 경피증, 피부근염) 뿐만이 아니라 가와사키병, 사카이도 증 및 거대세포동맥엽 등의 질환에서도 심근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그 외 원인 : 최근에는 방사선 치료 이후에 심근염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