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족저근막염 뜻, 증상, 치료, 원인, 예방

by getting to know 2023. 11. 26.

발바닥의 근육을 감싸고 있는 족저근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말합니다. 이는 발뒤꿈치에서 발가락까지 뻗어 있는 고무줄과 같은 인대인 발바닥 근막에 염증이 생기면서 극심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족저근막은 발의 아치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걷거나 운동을 할 때 충격을 흡수합니다.

 

 

증상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경우에는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발뒤꿈치 바닥 부위에 통증이 나타납니다.
  2. 걷거나 운동을 하면 가중되어 통증이 나타납니다.
  3. 발바닥 아치 부위에 통증이 느껴집니다.
  4. 자고 일어났을 때 통증이 더 심합니다.
  5. 오래 앉아 있다가 일어서면 통증이 더 심합니다.
  6. 발뒤꿈치 부위가 부어있습니다.
  7. 아킬레스건이 딱딱하게 굳어 있습니다.

 

 

치료

  1. 휴식 및 활동 수정 : 영향을 받은 발을 쉬게 하고 충격이 큰 활동을 피하면 족저근막의 긴장을 줄이고 치유를 촉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 아이싱 : 발뒤꿈치 부위에 얼음을 대면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루에 15분 정도, 3~4회 얼음찜질을 적용하는 것은 통증과 염증을 줄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3. 쿠션 있는 신발 착용 : 발에 부담을 줄이기 위해 쿠션 있는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4. 규칙적인 스트레칭 : 발과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을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진통제 복용 : 통증이 심할 경우 진통제를 복용할 수 있습니다.
  6. 체중 관리 : 비만이 족저근막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표준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 전문적인 치료 : 통증이 심하거나 만성화된 경우에는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체외충격파, 약물치료, 주사치료 등의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원인

  1. 평발인 경우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 푹신하고 편한 신발이 아닌 구두와 같은 딱딱한 신발을 착용한 경우 족저근막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비만인 경우 약 70%가 족저근막염을 경험합니다.
  4. 발바닥에 충격을 많이 주는 농구, 축구와 같은 운동선수일 경우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5. 바닥이 단단한 곳에 오래 서있는 일을 할 경우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6. 운동 전 스트레칭 하지 않고 운동한 경우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예방

족저근막염의 발병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 뒤꿈치에 쿠션이 있는 신발 사용 : 발에 부담을 줄이기 위해 쿠션 있는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 건강한 체중 유지 : 비만이 족저근막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표준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규칙적인 스트레칭 : 발과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을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운동 전에 발바닥 근막과 아킬레스건을 정기적으로 늘립니다.
  4. 단단한 표면에서 운동하지 마십시오 : 단단한 표면에서 운동하면 발바닥에 과도한 충격이 가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