뜻
섬유근육통은 만성적으로 전신의 근골격계 통증, 뻣뻣함, 감각 이상, 수면 장애, 피로감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신체 곳곳에 압통점(누르면 아픈 부분)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증상
아래의 증상들은 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섬유근육통 환자의 증상은 종종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전신성 통증 : 전신의 근육에 통증이 발생합니다. 특히 목, 어깨, 등, 허리, 팔, 다리 등에서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압통점 : 우리 몸에는 18군데의 압통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섬유근육통 환자는 더 많은 부위에서 심한 압통을 느낍니다.
- 피로 : 만성적인 피로감을 느낍니다.
- 수면 장애 : 잠들기 어렵거나 숙면을 취하지 못합니다.
- 인지 기능 장애 : 집중력, 기억력, 사고력이 저하됩니다.
- 기타 증상 : 우울증, 신경과민, 집중력 장애, 사고 장애와 같은 신경계 증상이 나타납니다. 손, 팔, 발, 얼굴에 이상 감각이나 저린 느낌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편두통, 복통, 복부 불쾌감, 반복적 변비와 설사도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입니다.
검사
섬유근육통의 진단은 주로 환자의 임상 증상을 관찰하여 이루어집니다. 특별한 검사법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감별 진단을 위해 영상 검사나 혈액 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최근 개정된 진단 기준에 따르면, 압통점의 유무와 상관없이 전신 통증의 지수, 기분 및 인지 능력, 신체화 증상 등 동반 증상을 평가하는 증상 중증도 척도를 사용해 진단합니다. 전신통증지수가 7점 이상, 증상중증도척도가 5점 이상 또는 전신통증지수가 3~6점, 증상중증도척도가 9점 이상에 해당할 경우 섬유근육통으로 진단합니다. 그러나 모든 섬유근육통 환자가 이러한 기준에 맞지는 않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압통점의 개수가 적고 일정한 부위에 통증을 더 호소할 수 있습니다.
- 전신통증지수 : 신체를 19개 부위로 나누어 아픈 곳을 표시하는 것입니다.
- 증상중증도척도 : 인지 능력 및 기분, 기억력, 집중력, 신체 증상 정도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치료
섬유근육통의 치료는 개인에 따라 다르며, 주로 증상 완화와 삶의 질 향상에 중점을 둡니다. 섬유근육통은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기도 하지만, 이로 인해 신체 변형이 오거나 생명이 위협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환자에게 섬유근육통이 치료할 수 있는 질환임을 인지시켜서 능동적으로 치료에 참여하도록 독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약물 치료 : 통증 관리와 수면 질 개선에 중점을 두고 항우울제, 항경련제, 근이완제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 생활 습관의 조정 : 스트레칭, 생활 습관 개선, 건강한 식습관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물리치료와 스트레칭 : 근육을 풀어 주도록 운동하여 심혈관계 작용을 향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트레칭, 자세 교정, 마사지, 요가 등의 물리 요법과, 경보, 자전거 타기, 수영, 수중 체조 등의 유산소 운동을 권장합니다.
- 심리적 지원 및 보완 대체 치료법 : 통합적 접근법은 약물 치료, 생활 습관의 조정, 심리적 지원 및 보완 대체 치료법을 포함합니다.
원인
섬유근육통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아래와 같은 요인들이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유전적 요인 : 섬유근육통 환자의 형제나 자매는 섬유근육통이 발생할 위험성이 일반인보다 13배 정도 높습니다.
- 후천적 요인 : 외상, 바이러스 감염, 갑상선기능저하증과 같은 호르몬 이상, 정신적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 통증에 대한 지각 이상 : 섬유근육통 환자의 중추신경계에서 세로토닌의 대사가 감소되어 있고, 체내 성장호르몬의 분비도 감소되어 있으며, 스트레스에 대한 부신피질호르몬의 분비 반응 감소, 뇌척수액에서 P 물질의 증가, 자율신경계의 기능 부전 등의 이상이 있다는 것이 밝혀져 있습니다.
- 스트레스와 긴장 : 나쁜 자세, 반복적인 동작, 운동 부상, 노화 등도 섬유근육통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예방
섬유근육통의 발병을 완전히 예방하는 방법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아래와 같은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통증 완화 및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규칙적인 운동 : 규칙적인 운동은 통증 완화, 피로 감소, 수면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운동을 할 때는 본인의 몸에 무리가 가지 않고 통증이 느껴지지 않는 낮은 수준부터 천천히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 건강한 식사와 충분한 수면 : 균형 잡힌 식사와 충분한 수면은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유지하는데 중요합니다.
- 스트레스 관리 : 스트레스는 섬유근육통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스트레스 관리 기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 햇빛 쬐기 : 햇빛이 좋을 때 20~30분 정도 일광욕을 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통 뜻, 증상, 검사, 치료, 예방 (0) | 2024.02.21 |
---|---|
자폐증 뜻, 증상, 검사, 치료, 원인, 예방 (1) | 2024.02.17 |
페스트 뜻, 증상, 검사, 치료, 원인, 예방 (1) | 2024.02.15 |
비중격만곡증 뜻, 증상, 검사, 치료, 원인, 예방 (0) | 2024.02.14 |
폐기종 뜻, 증상, 검사, 치료, 원인, 예방 (1) | 2024.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