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비중격만곡증 뜻, 증상, 검사, 치료, 원인, 예방

by getting to know 2024. 2. 14.

비중격만곡증은 코의 중앙에 위치하여 콧구멍을 둘로 나누는 벽인 비중격이 휘어져 있어서 발생하는 증상들을 통칭하는 말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비중격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휘어져 있습니다. 포유동물의 비중격은 반듯하지만, 사람의 비중격은 다소 굽어 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증상

  1. 코막힘 : 구부러져 튀어나온 쪽의 코막힘이 심하다는 것이 가장 주요한 증상입니다. 좁아진 쪽의 코가 막히는 경우가 많지만, 만곡 된 쪽과 코막힘을 느끼는 쪽이 항상 일치하지는 않으며 오히려 넓은 쪽의 코가 막힌다고 느끼는 경우도 있습니다.
  2. 후비루 : 콧물이 코뒤로 넘어가는 겁니다.
  3. 구강호흡 : 코가 막혀서 입으로만 숨을 쉬어야 합니다.
  4. 두 중 감 : 머리가 무겁게 느껴집니다.
  5. 기억력 감퇴와 주의 산만함이 나타납니다.
  6. 수면 장애, 수면 무호흡이 나타납니다.
  7. 두통이나 안면통 등의 통증 : 만곡 된 부위가 비강의 측벽을 눌러 자극하는 경우, 주변의 지각 신경이 압박되어 두통이나 안면통 등의 통증이 수반되기도 합니다.
  8. 이 외에도 비중격만곡증에 의해 감기와 같은 급성 비염이 잘 발생하게 됩니다. 만곡이 심하여 정상적인 점액의 이동이 방해받거나, 비강 내 기류의 변화로 점막이 화생 하는 등의 변형이 일어난 경우에는 만성 비부비동염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검사

아래의 검사들을 통해 비중격만곡증의 진단이 이루어지며, 이와 동반된 질환을 찾아내기 위하여 내시경 검사, 방사선 검사, 혈액 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1. 전비경 검사 : 이 검사는 비교적 용이하게 비중격만곡증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비점막혈관 수축제로 코 점막을 수축한 후 검사를 실시하면 비강 내부를 더 잘 볼 수 있습니다.
  2. 환자의 뺨을 외측으로 당겨 전비공을 열어주는 검사 : 이 검사는 환자의 코막힘이 나아지는 현상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3. 비강의 저항이나 용적을 측정하는 검사 : 이 검사는 진단에 도움을 주고, 수술 전과 수술 후의 변화를 그래프와 수치로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비강 기능 검사로 비강통기도 검사와 음향 비강통기도 검사가 있습니다.
  4. X선 단순 촬영 : 이 검사를 통하여 뼈 부분을 포함한 전반적인 비중격 모양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복잡한 골절이나 비부비동염의 동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전산화 단층 촬영(CT)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치료

비중격만곡증의 치료는 주로 수술적인 방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수술 후에는 약 3~4주 동안 일주일에 1~3회 정도 외래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주의 사항은 수술 후 한 달까지 코를 세게 풀지 말아야 합니다. 수술 후 한 달까지 술, 담배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코 안에 넣은 솜을 함부로 빼지 않도록 합니다. 수술 후 7일째부터는 식염수 코세척을 시작합니다. 퇴원 후 코 통증, 코막힘이 심해지면 반드시 응급실이나 외래로 다시 내원합니다. 아래의 치료 방법들은 비중격만곡증의 증상을 완화하고, 코의 기능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그러나 각 환자의 상황에 따라 가장 적합한 치료 방법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전문적인 조언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1. 비중격 성형술 : 이 수술은 비중격을 재정렬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외과 의사는 비중격에 도달하기 위해 코 내부를 절개하고, 필요에 따라 연골이나 뼈를 다듬고, 재정렬하고, 교체합니다. 환자는 일반적으로 치료 후 같은 날 집으로 돌아가며, 일반적으로 전신 마취 하에 수행됩니다.
  2. 비중격 점막하 절제술
  3. 교차해칭 비중격교정술
  4. 비중격 펼침 봉합법

 

원인

아래의 원인들로 인해 비중격이 구부러지게 되어 비중격만곡증이 발생합니다. 이 질환은 때때로 증상이 없을 수 있지만, 심한 경우에는 일상생활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1. 외상 : 가장 흔한 원인은 코 부상이나 외상입니다.
  2. 유전적 요인 : 부모 자식 간의 비중격 기형의 모양이 매우 비숫한 경우도 있습니다.
  3. 출생 시의 합병증 : 출산 주형설 자연분만 시 산도에 눌려 비중격 연골의 위치가 변하여 만곡이 발생하거나, 임신 마지막 수개월 동안 뱃속에서 태아의 코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비중격 기형이 생길 수 있습니다.
  4. 선천성 혹은 발달성 기형 : 자궁 내의 태아, 제왕절개로 태어난 신생아의 경우에도 비중격 기형이 발견됩니다. 그리고 사람이 성장함에 따라 편평한 두개저(머리뼈의 바닥)의 모양이 약간 경사지게 되면서 비중격 기형 발생이 많아집니다.

 

예방

비중격만곡증을 예방하는 방법은 주로 코의 외상을 피하는 것에 중점을 둡니다. 아래의 예방 방법들은 비중격만곡증의 발생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비중격만곡증은 선천적인 요인이나 외상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완전히 예방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1. 안전한 환경에서 생활 : 코에 외상을 줄이고 안전한 환경에서 생활함으로써 비중격만곡증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2. 코 보호 : 스포츠 활동이나 물리적 활동을 할 때는 코를 보호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3.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 :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고, 특히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