뜻
혈관종은 혈관 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하고 확장하여 덩어리를 이루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피부나 위장관 등 신체의 다른 곳에서도 발생할 수 있지만, 간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합니다.
증상
혈관종의 증상은 종류와 위치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혈관종은 대부분 치료가 필요하지 않지만, 때때로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 피부 혈관종 : 피부에 선홍색이나 푸른 빛을 띠는 융기 부분이 있습니다. 가렵거나 아프지 않으며, 작은 손상으로 혈관종에서 피가 나오고 궤양이 생길 수 있습니다. 궤양은 아플 수 있고 치유되는데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눈 근처에서 자라는 혈관종은 시력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 간 혈관종 : 대부분 작고 무증상이며 우연히 발견됩니다. 증상이 있는 경우, 복통 혹은 복부 불편감이 가장 흔하고 조기 포만감, 구역감, 구토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혈관종이 복부 장기를 누르거나 밀어서 증상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간혹 출혈이나 혈전이 생기며, 매우 드물게 복강 내로 파열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치료
혈관종의 치료는 종류와 위치, 그리고 증상의 심각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인 치료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혈관종 치료는 전문적인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이루어져야 하므로, 혈관종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의료진에게 상담해야 합니다.
- 약물 치료 : 혈관종이 목 - 얼굴 부위에 있어서 모습을 일그러지게 하는 경우, 혈관종이 크고 자주 출혈, 궤양, 감염 등을 일으키는 경우, 혈관종이 호흡, 시력, 청력 등 생리 기능에 지장을 주는 경우, 혈소판 감소에 의한 응고병증이 있는 경우, 혈관종으로 인해 고박출심장기능상실이 발생하여 상황이 복잡해진 경우 등에는 대량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사용하는 전신요법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 외과적 수술 : 피부에 있는 혈관종을 내과적인 방법으로 치료해도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생명을 위협하거나 시력 같은 생명 유지에 막대한 지장이 있는 경우에 한해 외과적으로 절제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간 혈관종 치료 : 간 혈관종은 대부분 치룍다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혈관종이 크고 복부 팽만, 복통, 출혈 등 증상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치료해야 합니다. 혈관종이 간 한쪽에 치우쳐져 있으면 수술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절제할 수 없는 경우 방사선 치료나 혈관종으로 가는 혈관을 막는 색전술이라는 치료로 그 크기를 줄여 증상을 없앨 수 있습니다.
- 냉동요법 : 비등점이 -195.8도인 액체질소의 금속 끝을 1~3분간 혈관종에 대어주거나, -60도의 액체 탄산가스의 금속 끝을 2~5분간 혈관종에 대어주는 냉동요법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원인
혈관종이 발생하는 명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여러 요인들이 혈관종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알려져 있긴 하지만 각 개인의 혈관종 발생 원인은 다양할 수 있으므로, 혈관종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유전적 요인 : 특정 유전자 변이가 혈관종 발생에 관련될 수 있습니다.
- 호르몬 : 특히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혈관종의 발생과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출생 시 저체중 : 저체중 출생아에서 혈관종이 더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자외선의 영향 : 자외선 노출이 혈관종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모세 혈관의 과도한 증식 : 모세 혈관이 평소보다 과도하게 증식하면 혈관종을 만드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독증 뜻, 증상, 검사, 치료, 원인, 예방 (1) | 2024.01.29 |
---|---|
골절 뜻, 증상, 검사, 치료, 원인, 예방 (1) | 2024.01.28 |
돌발진 뜻, 증상, 치료, 원인 (0) | 2024.01.26 |
생리통 뜻, 증상, 치료, 원인, 예방 (2) | 2024.01.25 |
다한증 뜻, 증상, 치료, 원인, 예방 (1) | 2024.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