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지방간 뜻, 증상, 치료, 원인

by getting to know 2023. 12. 31.

간세포에 지방이 많이 축적되어 간의 지방 함량이 증가함으로써 나타나는 가역적 질병이자 대사 질환입니다. 이는 과다한 음주로 인해 알코올 지방간이 발생하거나 약물 섭취, 생활 습관 등의 다양한 상황에 의하여 비알콜성 지방간(NASH)이 발병하기도 합니다. 특히 비만 및 알코올, 탄수화물을 과다 섭취한 경우 쉽게 발현됩니다. 지방간은 일반적으로 단순히 지방의 비율이 높아져있는 단순 지방간 상태를 가리키지만, 간염, 간병변을 비롯한 다양한 병에서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증상

대부분 경미하며, 일반적으로 초기에는 증상이 없어 조기에 발견하기 어렵습니다. 지방간 자체로는 위험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방치하면 지방간 환자의 25%는 간염으로 발전하며, 조금 더 악화되면 간이 딱딱하게 굳는 간경화, 간암까지도 발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래의 증상이 나타나면 전문가와 상의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로, 지방간은 건강검진 결과상 간수치(AST, ALT) 증가나 복부초음파 검사상 지방간 소견을 받아 알게 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1. 우측 복부 위쪽에 멍한 통증이나 불편한 느낌
  2. 식욕부진
  3. 무기력감
  4. 피로감
  5. 간혹 두통과 체중 감소 등의 현상

 

 

치료

  1. 생활습관 개선 : 지방간 치료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입니다. 적당한 식사와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며, 흡연과 과도한 음주를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지방간에 좋은 음식 위주로 섭취하여 간수치를 떨어뜨리는 것이 중요하며, 간에 지방을 끼우는 튀김, 햄버거 등 기름진 음식과 탄산음료, 사탕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약물 치료 : 중증도 이상의 지방간은 약을 사용해야 효과적으로 지방간 등 기타 질환을 치료와 예방을 할 수 있습니다. 지방간 치료에는 피오글리타존, 메트포르민 등 당뇨치료제, 아토르바스타틴, 로수바스타틴 등 스타틴 계열 약, 오메가 3 지방산이 사용됩니다.
  3. 금주 : 술이 원인일 때는 금주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술 때문에 부족해진 영양분을 보충해 주는 것이 필요하며, 금주와 함께 꾸준한 운동이 필요합니다.
  4. 진단 검사 : 지방간은 조기에 스스로 알아차리기보다는 정기 건강검진을 통해 발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간 기능 이상 여부는 혈액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혈액 검사에서 간 기능에 이상 여부가 밝혀지면 순차적으로 복부 초음파, 복부 CT를 촬영해 간에 낀 지방의 양을 확인하고 간염, 간병변 등으로 진행되지는 않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인

아래의 원인들로 인해 간에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면 지방간이 발생합니다. 지방간은 그 원인에 따라서 알코올성 지방간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분류됩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하루에 40g(4잔) 이하의 음주를 하는 사람에게 생기는 지방간을 말합니다.

  1. 과도한 음주 : 과도한 음주는 간에 지방이 축적되게 하여 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발합니다.
  2. 비만(복부비만) : 비만은 간에 지방이 축적되게 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발합니다.
  3. 당뇨병 : 당뇨병은 간에 지방이 축적되게 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발합니다.
  4. 탄수화물, 지방 과잉 섭취 : 특히 지방을 직접 섭취하지 않더라도 빵, 밥, 라면 등 정제 탄수화물은 간에서 지방 형태로 변화되어 저장되기도 합니다.
  5. 운동부족과 근감소증, 폐경 등 : 이들도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원인으로 들 수 있습니다.
  6. 특정 약물 : 아스피린, 스테로이드, 테트라사이클린 등의 특정 약물이 지방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