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제1형 당뇨병에 대하여

by getting to know 2023. 10. 19.

제1형 당뇨병은 인슐린을 거의 또는 전혀 생성하지 않는 만성 자가면역 질환입니다. 인슐린은 탄수화물의 포도당을 신체가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호르몬입니다. 과거에는 "소아 당뇨"라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성인도 발병되는 경우가 많으며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수치 및 진단  기준

  1. 물을 포함한 8시간 이상 금식 후 공복 혈당 수치는 100mg/dL 정상, 100~125mg/dL 당뇨병 전기, 126mg/dL 이상 제1형 당뇨병 진단입니다.
  2. 식후 혈당은 1시간 후를 기준으로 179mg/dL 이하 정상, 180~199mg/dL 당뇨병 전기, 200mg/dL 이상 제1형 당뇨병 진단입니다. 2시간 후를 기준으로 139mg/dL 이하 정상, 140~199mg/dL 당뇨병 전기, 200mg/dL 이상 제1형 당뇨병 진단입니다.

 

 

증상

초기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으나 증상이 있는 경우 빠르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1. 대표적으로 삼다 증상이 있습니다. 목이 자주 말라 물을 많이 마시고(다음), 소변을 많이 배출하고(다뇨), 먹어도 먹어도 공복감을 느껴 많이 먹습니다(다식)
  2. 눈이 침침하고 시야 흐림, 피로감, 현기증, 어지러움증, 무기력함, 잘 먹어도 살이 빠지는 체중감소, 치주염, 식곤증, 피부질환, 음부 가려움증, 손발 저림, 피부감염, 상처가 잘 낫지 않는 등 심하면 구토, 복통, 의식저하 등의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치료

혈당 수치를 정상 수치로 유지하고 합병증 발생을 막기 위해 평생 관리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혈당 측정은 공복, 식후 등 하루에 최소 3번 이상 체크하시거나 연속혈당측정기를 이용하셔도 됩니다. 부족한 인슐린을 보충하기 위해 인슐린 투여가 중요합니다. 인슐린 투여는 하루에 최소 2회 이상 자가 주사 및 인슐린 펌프를 장착한 후 투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투여할 때는 시간과 양을 꼭 지켜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인슐린 투여, 혈당 모니터링, 건강한 식단, 규칙적인 신체 활동 및 운동(근력운동)을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만약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식단

혈당 변동을 예방하시려면 규칙적이고 균형 잡힌 식사를 하시고 과식을 피하시는 게 좋습니다.

  1. 건강한 탄수화물로 대체하여 관리해주셔야 합니다. 함량이 높은 복합 탄수화물을 선택하되 음료, 술, 과자, 패스트리, 가공식품 등 단순 탄수화물 및 설탕은 제한하셔야 합니다. 건강한 탄수화물에는 현미, 퀴노아, 통밀, 보리, 귀리, 파스타, 통곡물 등이 있습니다.
  2. 야채는 섬유질이 풍부해 혈당 수치를 조절하고 식욕 조절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잎채소, 브로콜리, 피망, 당근, 시금치 등 식사에 포함하시면 좋습니다.
  3. 과일은 혈당 급증을 최소화하려면 설탕 함량이 낮고 혈당 지수(GI)가 낮은 걸 선택하시면 됩니다. 딸기, 블루베리, 사과, 배, 체리, 오렌지, 자몽 등이 있습니다.
  4. 단백질은 근육량을 유지하고 혈당을 조절하며 포만감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생선, 콩, 두부 등이 있습니다.
  5. 건강한 지방은 아보카도, 견과류, 씨앗, 올리브오일, 연어 등이 있습니다.
  6. 유제품으로는 저지방 요구르트, 아몬드 우유, 두유 등이 있습니다.
  7. 견과류와 씨앗은 혈당 수치를 안정시키고 포만감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아몬드, 호두, 치아시드, 아마씨, 호박씨 등이 있습니다.

 

마치며

제1형 당뇨병을 알아보았습니다. 유전적, 환경적 요인을 무시할 수 없으므로 당뇨병,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고위험군에 속하니 정기적인 혈당 검사를 하여 혈당 체크를 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