뜻
위의 점막에서 발생하는 염증을 의미합니다. 병리학적인 소견으로서 점막에 염증 세포의 침윤이 확인된 경우에만 위염이라고 진단하게 됩니다. 위염은 시간적 개념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증상
- 복통 : 위염 환자들은 보통 "심와부 통증" 또는 명치 부근의 통증을 호소합니다. 이 통증은 작열감 또는 찌르는 듯한 통증, 신경을 갉는 듯한 통증으로 묘사됩니다. 따라서 한밤중에 통증으로 인해 깨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 통증은 보통 제산제의 복용 또는 음식 섭취를 통해 완화됩니다.
- 구토감과 구토 : 이 증상들은 위염에 걸렸을 때 상당히 흔히 발생하는 것들입니다. 구토를 했을 때 담즙이나 혈액이 보일 수도 있습니다. 혈액이 일부 소화된 경우 커피 찌꺼기와 비슷하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
- 검은 변(흑변) : 위염 환자가 흔히 겪는 증상 중 하나인 검은 변은 "혈변"이라고도 불립니다. 이는 구토 시 혈액이 섞여 나오는 원인인 출혈성 궤양이 변에 영향을 준 것입니다. 따라서 혈변이 나온 경우 시급히 병원에 갈 필요가 있습니다.
- 식욕 변화 : 위염을 겪는 사람들은 식욕이 줄어드는 증상을 겪곤 합니다. 식욕이 완전히 사라질 수도 있으며, 평소와 다르게 소량의 음식만을 섭취하고 나서 포만감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갑자기 이유 없이 평소 입던 옷이 헐렁해진 감이 있을 때 상태를 주의 깊게 살펴야 합니다. 따로 다이어트를 하지 않는 상황에서 살이 갑자기 빠지고 있다면 식욕이 줄어든 것일 수 있습니다. 식욕이 확연히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면 식욕 부진증에 걸린 것일 수도 있습니다. 특히 수분과 영양분 부족으로 인한 현기증 등을 겪는다면 필히 병원에 가도록 합니다.
- 과도한 트림과 복부 가스 : 위 점막에 염증이 생기면 가스가 쌓이게 됩니다. 따라서 위염 환자들은 일반인에 비해 트림을 더 많이 하게 됩니다. 그리고 트림을 한 뒤에도 위에 가스가 갇힌 듯한 불쾌한 느낌을 받게 됩니다.
치료
증상에 따라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나타나는 급성 위염과 잘못된 식습관과 생활습관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만성 위염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위염 증상에 따라 각 치료 방법이 다르며, 위염은 특히 스트레스성 위염이 많기 때문에 평소 마음 가짐을 편안히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음식을 조심해야 하는데 과식, 폭식은 위에 좋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식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 약물 치료 : 주로 위산분비억제제와 위장 운동 활성제 등을 사용합니다. 위산분비억제제는 위산 자체의 분비를 억제하여 위 내의 산성도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위염은 기생충, 헬리코박터균 등 외부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병원 치료가 필요하며, 이때 전문의는 위산 억제제와 위장 점막 보호제를 처방합니다. 만약 위염이 헬리코박터균에 의해 발생한 경우, 항생제 치료가 시행되며,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를 복용해야 합니다.
- 생활습관 개선 : 만성 위염 치료는 잘못된 식습관과 생활습관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약물 치료를 적극적으로 권장하기보다는 생활습관, 식습관 교정으로 고쳐나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경우에 따라 위 산도를 낮추는 약물과 복부 팽만감을 조절하는 위 운동 조절 약물을 투여할 수 있습니다.
- 운동 : 위염을 앓고 있다면 일상 속에서 가벼운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벼운 걷기 운동은 위장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해주며, 스트레칭과 요가는 심신을 안정되게 만들고 위장이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 영양제 섭취 : 양배추가 들어간 위 영양제를 장기간 복용해 주면 위벽 회복에 탄력이 붙을 수 있습니다.
검사
주로 내시경 검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내시경은 입을 통해 카메라가 달린 긴 관을 삽입하여 식도, 위, 십이지장까지 관찰하는 방법입니다. 위장 점막에 나타난 색조 변화, 표면의 결절성 변화, 점막하 혈관의 투영도를 관찰하고, 위점막이 얕게 벗겨지는 미란 등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염이 발생하면 복통(주로 배의 위쪽 부위 통증), 소화불량, 헛배부름, 구역감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증상이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이러한 증상들은 위염에서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증상만으로 진단하는 것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만약 "위험 증상"이 있는 경우, 의사가 위내시경을 제안할 것입니다. 위험 증상에는 구토 시 혈액과 담즙이 섞여 나온 경우, 검은 변(혈변), 식욕 감소, 식욕 부진, 체중 감소(2.7kg 이상), 빈혈(창백한 얼굴, 피로감, 어지럼증, 근력저하 등) 등이 있습니다.
원인
- 급성 위염
- 헬리코박터균의 급성 감염
- 심한 스트레스(외상, 화상, 패혈증 등)
- 알코올, 약물(아스피린, 진통소염제)
- 만성 위염
- 헬리코박터균의 급성 감염
- 약물(아스피린, 진통소염제)
- 흡연
- 담즙 역류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광염 뜻, 증상, 치료, 원인, 좋은 음식 (0) | 2023.12.09 |
---|---|
불면증 뜻, 증상, 치료, 검사, 원인 (3) | 2023.12.08 |
다래끼 뜻, 증상, 치료, 검사, 원인 (0) | 2023.12.06 |
패혈증 뜻, 증상, 치료, 검사, 원인, 사망률 (0) | 2023.12.05 |
안검하수 뜻, 증상, 치료, 자가진단, 원인, 예방 (1) | 2023.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