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안와골절 뜻, 증상, 검사, 치료, 원인, 예방

by getting to know 2024. 3. 1.

안구를 감싸고 있는 안와골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부러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눈 주위의 뼈는 안구와 눈 속 근육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뼈는 매우 얇고 섬세하여 작은 충격에도 쉽게 손상될 수 있습니다. 안와골절은 사고, 폭행, 운동 등으로 눈, 눈 주위, 뺨 등의 얼굴 부위에 충격이 가해져 발생합니다.

 

 

증상

  1. 눈이 붓고 코피가 날 수 있습니다.
  2. 눈꺼풀 및 결막의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코, 뺨, 입술 등의 얼굴 감각 이상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4. 안구를 움직이는 근육이 손상되어 안구 운동의 장애와 복시(물체가 여러 개로 보이는 현상)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시력 감소, 피하기종, 외안근 혹은 시신경의 손상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검사

  1. 컴퓨터 단층 촬영(CT) : 골절 위치와 정도, 안와 조직의 탈출과 손상 여부를 판정할 수 있습니다.
  2. 안저검사 : 시력적 손상이 가해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진행됩니다.

 

치료

  1. 부종을 감소시키기 위해 얼음찜질을 합니다.
  2. 주위로 감염이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항생제를 투여합니다.
  3. 필요에 따라 10~14일 이내에 수술을 시행하여 복시와 안구 함몰의 합병증을 막을 수 있습니다.

 

원인

  1. 사고 : 교통사고, 낙상 등으로 눈 주위에 충격이 가해질 때 안와골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폭행 : 타인에 의한 폭행으로 인해 눈 주위에 충격이 가해져서 안와골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운동 : 운동 중에 눈 주위에 충격이 가해질 때 안와골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축구나 야구 등의 스포츠에서는 안와골절이 자주 발생합니다.

 

예방

  1. 스포츠 활동 : 축구, 농구 등의 스포츠 활동 시에는 안전 장비를 착용하고, 규칙을 준수하여 눈 주변 부상을 최소화합니다.
  2. 교통안전 : 자동차 운전 시에는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자전거나 오토바이를 탈 때는 헬멧을 착용합니다.
  3. 직업적 위험 : 일부 작업은 눈 주변 부상의 위험이 높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적절한 안전 장비를 착용하고, 안전 지침을 철저히 준수합니다.
  4. 집안 안전 : 집안에서도 눈 주변 부상의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날카로운 가구 모서리는 부상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이런 위험 요소를 제거하거나 안전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