뜻
심부전은 심장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인해 심장이 혈액을 받아들이는 충만 기능(이완 가능)이나 짜내는 펌프 기능(수축 기능)이 감소하여 신체 조직에 필요한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해 발생하는 질환군을 말합니다.
증상
아래의 증상들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방문하여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 피로와 권태감 : 심장의 기능 저하로 인해 전신의 근육에 충분한 양의 혈액이 운반되지 않기 때문에 피로감이나 권태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 호흡곤란 : 심장이 혈액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므로 몸의 다른 기관들도 충분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계단을 오르기만 해도 숨이 많이 차고, 운동을 하거나 누웠을 때 숨쉬기가 힘들며, 평소에도 피곤함을 많이 느낍니다.
- 부종 : 심부전에 의해 심장이 커져서 심박동이 불규칙한 상태인 부정맥이 발생할 수 있고, 심장으로 들어오는 혈액이 정체되면서 발목, 종아리와 같이 신체 낮은 부위에 부종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 기타 증상 : 심부전 증상은 소화 불량이나 지속적인 기침, 불규칙한 심박수, 가슴 두근거림, 복부 부종, 야간 호흡곤란, 호흡 시 쌕쌕거림, 혼돈, 불안, 우울증과 같은 다양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치료
심부전의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릅니다. 아래의 치료 방법들은 심부전의 원인을 파악하고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며,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정기적으로 시행됩니다.
- 원인 질환 치료 : 심부전을 유발하는 질환의 치료가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고혈압, 동맥경화, 당뇨병, 갑상선 기능 저하증, 신장 질환, 폐 질환 등이 있습니다.
- 생활방식의 변경 :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며, 흡연과 과음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약물 치료 : 이뇨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 안지오텐신 차단제, 베타차단제, 강심제, 질산염 제제, 와파린 등의 약물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심장 기능을 유지하고 심부전 증상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수술이나 기타 중재 시술 : 심부전의 증상이 심하거나, 심부전의 원인이 심장의 구조적인 문제이거나, 약물 치료로 효과를 볼 수 없는 경우에는 시술이나 수술을 시행하게 됩니다. 시술에는 판막성형술, 판막치환술, 관상동맥 우회술, 관상동맥 성형술 및 스텐트 삽입술 등이 있으며, 수술에는 심장박동 조율기 삽입술, 삽입형 제세동기 삽입술, 심장이식 수술 등이 있습니다.
원인
심부전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아래의 원인들은 심부전의 발생을 초래하며, 원인에 따라 치료 방법도 다양합니다.
- 관상동맥 질환 : 심장에 혈액과 산소를 공급하는 동맥이 좁아져서 발생하는 관상동맥 질환은 심부전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입니다.
- 고혈압 : 고혈압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심장에 부담을 주어 심장벽이 두꺼워지고 심장이 커집니다. 어느 정도까지는 견디지만 심하면 심장의 펌프 기능이 떨어집니다.
- 심방세동 : 심방세동이란 심장의 일부부인 심방이 불규칙적으로 빨리 뛰는 것입니다. 고혈압이 주된 원인으로 정상보다 과도하게 맥박이 빨라지면 심장이 빨리 지쳐 심부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심장 판막 질환 : 심장 판막의 운동에 장애가 생겨 잘 열리지 않거나 잘 닫히지 않으면 심장에 부담이 되어 심장 기능이 감소되면서 심부전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심장 근육 질환(심근병증) : 알 수 없는 원인으로 심장 근육이 손상되면 심장 펌프 기능이 약해져 심부전이 생길 수 있습니다. 심근병증은 유전 질환에 의해 생길 수도 있으며, 수년에 걸친 과도한 알코올 섭취 역시 심장 근육을 손상시켜 심부전의 원인이 됩니다.
- 기타 질환들 : 심부전 환자는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다른 질환이 있는지 검사받고, 가능하다면 그 질병을 치료받아야 합니다. 빈혈, 갑상선 질환, 콩팥 질환 등이 대표적입니다.
예방
아래의 방법들은 심부전의 발생을 예방하고, 심부전이 이미 발생한 경우에는 증상을 완화하고 질병의 진행을 늦추는데 도움이 됩니다.
- 규칙적인 운동 : 유산소 운동을 일주일에 3~5회, 30분 이상 하는 것이 좋습니다. 힘이 들면 5~10분씩 나눠서 시행해도 됩니다.
- 스트레스 관리 : 스트레스는 심장에 부담을 주므로 적절한 스트레스 관리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저염 식사 : 염분은 신체 내부에서 수분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만듭니다. 그로 인해 심장은 필요 이상의 운동을 하게 됩니다. 염분 섭취량을 줄이면 심장이 받는 스트레스가 줄어들며 심장 질환이 심부전으로 발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 혈압조절 : 고혈압을 동반한 심부전 환자는 혈압을 수축기 혈압 140mmHg 미만, 이완기 혈압 90mmHg 미만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정상혈압으로 유지해야만 심장에 무리가 가지 않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한증 뜻, 증상, 치료, 원인, 예방 (1) | 2024.01.24 |
---|---|
사시 뜻, 증상, 검사, 치료, 원인, 예방 (2) | 2024.01.23 |
탈장 뜻, 증상, 치료, 원인, 예방 (1) | 2024.01.21 |
지방종 뜻, 증상, 치료, 원인, 예방 (0) | 2024.01.20 |
임신중독증 뜻, 증상, 검사, 치료, 원인 (0) | 2024.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