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변비 뜻, 증상, 치료, 원인, 예방, 좋은 음식

by getting to know 2023. 12. 26.

변비는 대변이 대장에 오래 머물고 정상적으로 배변되지 않는 증상을 말합니다. 이는 드물고, 불규칙하거나 힘든 배변 활동을 포함합니다.

 

 

증상

  1. 배변 시 과도한 힘이 들어감 : 변이 단단하거나 크기가 크면 배변 시에 과도한 힘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2. 변이 과도하게 단단함 : 수분이 부족하거나 장 내 체류 시간이 길어지면 변이 단단해집니다.
  3. 배변 후에도 변이 남은 듯한 느낌 : 잔변감이라고도 하며, 배변 후에도 변이 남아 있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4. 복부 팽만감 : 장 내에 가스나 변이 축적되면 복부가 팽창하게 됩니다.
  5. 복통 : 장의 운동이 활발해지거나 장 내 압력이 증가하면 복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6. 하복부의 불쾌함과 항문 출혈이 반복되면 이차적으로 치질, 치열 등이 발생하면서 배변 시 항문 통증, 출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7. 만성 변비는 식욕 부진, 소화 불량을 유발합니다. 이는 다시 변비를 악화시키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치료

변비 치료는 환자의 상태와 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변비 증상이 지속되면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자가 치료 : 가장 중요한 것은 올바른 식습관과 배변 습관, 적절한 운동입니다. 섬유질이 풍부한 식사를 하고,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해야 합니다. 또한 장시간 앉아서 생활하는 습관을 줄이고 걷기나 줄넘기, 윗몸일으키기 등 규칙적인 운동으로 대장 운동을 활발하게 해 주어 변비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2. 약물 요법 : 이러한 식이 요법과 생활 방식의 개선으로도 4주 이상 변비 증상이 지속된다면 약물 요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변비약의 무분별한 남용은 장 신경의 손상 등을 초래하여 변비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3. 바이오 피드백 치료 : 여러 이유로 항문이 열리지 않는 변비 환자에게 시행하는 항문 이완 요법입니다.
  4. 관장 요법 : 변비가 심할 경우 생리 식염수, 글리세린 등으로 관장하여 직장을 팽창시켜 장운동을 촉진하거나 정점막을 자극합니다.

 

원인

  1. 불규칙한 배변 습관 : 변이 직장 안에 머물러 있으면 직장벽이 변을 감지하고 변의를 느끼는 배변 반사가 이루어집니다. 변의를 무시하면 직장벽의 지각이 둔화되어 변의를 느끼지 못하게 됩니다.
  2. 식사와 수분 섭취 부족 : 식사를 충분히 하지 못하거나 물을 충분히 마시지 않으면 변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운동 부족과 환경 변화 : 나이, 운동 부족, 환경이 변비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4. 여성 특성 : 특히 여성에게 발생하는 변비의 주요 원인은 다이어트, 임신, 월경, 스트레스입니다.
  5. 특발성 변비 : 많은 환자는 변비 유발 원인이 없는데도 변비를 경험하는데, 이러한 경우를 특발성 변비라고 합니다.
  6. 질환에 의한 변비 : 당뇨병, 갑상선기능 저하증, 파킨슨병, 다발경화증, 척추병, 우울증, 정신분열증 등의 질환으로 인해 변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7. 약물 복용 : 특정 약물을 복용하는 것도 변비의 원인 중 하나입니다.
  8. 대장의 전반적인 운동성이 떨어져서 생기는 대장 무력증이나 자극성 하제의 과다 복용 등으로 변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9. 대변의 통로인 대장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대장암, 대장용종, 게실증, 궤양성 대장염에 의한 장관 협착, 선천성거대결장증 등이 있습니다.

 

예방

  1. 규칙적인 배변 습관 : 변의가 생기면 참지 말고 바로 배변합니다.
  2. 적당한 운동 : 하루에 30분 이상 규칙적으로 운동을 합니다.
  3. 충분한 수분 섭취 : 하루에 2리터 이상의 물을 마십니다.
  4. 식이섬유 풍부한 식사 : 식이섬유가 풍부한 채소, 과일, 해조류, 현미, 잡곡 등을 섭취합니다.
  5. 스트레스 관리 : 스트레스는 변비의 원인 중 하나이므로,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알맞은 자세로 배변 : 변기에 앉은 채 발밑에 15cm가량의 받침대를 받쳐 고관절을 굴곡시킴으로써 변을 보기 쉽게 합니다.
  7. 유산균 섭취 : 요구르트 등의 유산균을 섭취하면 장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좋은 음식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은 변비를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갑작스럽게 섬유질 섭취량을 늘리면 복부 팽만감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점진적으로 식단에 늘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1. 바나나 : 바나나는 장 속 비피더스 균을 늘리는 펙틴이 들어있어 변비 해소에 효과적입니다.
  2. 사과 : 사과의 식이섬유 펙틴이 유산균을 증가시켜 배변을 촉진해 줍니다.
  3. 다시마 : 다시마의 끈적끈적한 알긴산이 장의 운동을 돕고 수분을 유지시켜 줍니다.
  4. 우엉 : 우엉은 숙변 제거에 탁월해 건강한 장 환경을 만들어줍니다.
  5. 고구마 : 고구마를 자르면 흰색의 야라핀이라는 성분이 배변을 부드럽게 만들어 배변 횟수와 양을 늘리는데 효과적입니다.
  6. 청국장 : 청국장에 함유된 젖산균이 장을 튼튼히 해줍니다.
  7. 자두 : 자두에 들어 있는 식이섬유는 대변에 수분을 더하고 부피를 늘리게 합니다.
  8. 키위 : 키위는 섬유질의 또 다른 좋은 공급원입니다.
  9. 양배추 : 양배추는 섬유질이 풍부하며 변비에 좋습니다.
  10. 브로콜리 : 브로콜리도 섬유질이 풍부하여 변비에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