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게실염 뜻, 증상, 치료, 합병증, 원인

by getting to know 2024. 1. 11.

게실염은 대장 벽의 게실이라는 풍선처럼 생긴 주머니에서 염증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게실염은 일반적으로 대장, 특히 결장에 영향을 미칩니다.

 

 

증상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휴식으로 치료할 수 있지만, 중증의 증상이 있는 사람은 정맥 내 항생제 치료 및 때로는 수술을 위해 병원에 입원하게 됩니다. 게실염 증상을 미리 알아두고 상황에 따라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급성 복통 : 가장 대표적인 게실염 증상으로, 복부의 통증과 압통(누를 때), 반발 압통(눌렀다 땔 때)이 있습니다.
  2. 전신증상 : 염증 반응으로 인해 발열 및 오한, 오심, 구토 등의 전신 증상을 동반할 수 있으며, 배변의 횟수, 변비, 설사 등 배변 습관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방광 자극 : 게실염은 방광을 자극해 빈뇨 증상이 생겨 화장실을 자주 가게 됩니다.
  4. 복부 압통 : 일반적으로 좌측 하복부에서 발생하는 통증, 압통이 있습니다.

 

 

치료

게실염의 치료는 환자의 상태와 증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의 지시를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게실염 치료 후에도 약 30% 환자들에서 게실염이 재발한다고 하니, 치료 후에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1. 항생제 치료 : 대부분의 게실염은 항생제를 통해 치료하게 됩니다. 항생제는 염증을 일으킨 세균을 제거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2. 금식(NPO) 및 수액투여 : 게실염의 치료 과정에서는 일정 기간 음식물을 섭취하지 않고, 수액을 통해 필요한 영양소를 보충합니다. 이는 장에 휴식을 주어 치료에 도움을 줍니다.
  3. 수술 : 치료 후 3~4일 후에도 증상이 완화되지 않을 경우, 또는 게실염이 재발하는 경우에는 수술을 권장하게 됩니다. 특히 게실염이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경우에는 응급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합병증

아래의 합병증들이 심해지면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으므로, 게실염 치료 후에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1. 농양 : 고름 주머니가 형성되는 상태입니다.
  2. 출혈 : 게실에서 출혈이 발생하여 장 안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3. 누 공 : 한 기관을 다른 기관 또는 피부와 연결하는 비정상적인 통로입니다. 게실염으로 인한 장 염증이 있으면 대장과 다른 기관이 연결되는 누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결장막 : 게실염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다른 합병증에는 인근 기관(자궁, 방광, 또는 다른 소화관 부위 등)의 염증이 포함됩니다.
  5. 복막염 : 게실의 벽이 파열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복강의 감염입니다.
  6. 좁아짐(협착) : 게실염의 재발이 반복되면 그로 인한 반흔 및 근육 비후가 대장의 대부를 좁게 만들어서 고형 대변이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대장 좁아짐(협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인

아래의 원인들로 인해 게실염이 발생하며, 이는 대장의 가장 하부에 주로 영향을 미칩니다. 게실 자체만으로는 치료가 필요치 않으며, 염증이 발생한 경우 증상에 따라 게실염 입원 치료 및 통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1. 게실 : 게실염은 대장에 낭 또는 주머니가 형성되는 질환인 게실증이 있는 사람에게 발생합니다. 게실은 식도, 위, 소장, 대장, 담낭, 방광 등에 약해진 벽이 늘어나 바깥쪽으로 돌출된 비정상적인 작은 주머니입니다.
  2. 오염물질 : 때로는 대변 및 세균이 낭(게실) 중 하나에 들어가 염증 및 감염을 유발합니다. 게실에 변이나 음식물등의 오염 물질이 들어가서 염증을 유발하는 것입니다.
  3. 대장의 압력 : 변비 등으로 인해 대장이 과도하게 수축하면 대장 내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대장 벽의 약해진 부분에 주머니처럼 부풀어 게실이 생기기도 합니다.
  4. 식단 : 고지방, 고단백, 저섬유질 식단을 섭취하는 것 역시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식이섬유가 적은 식단은 대변의 양이 줄어들어 대변을 볼 때 장에서 더욱 큰 압력으로 밀어내야 하기 때문에 장점막이 돌출될 확률이 증가합니다.
  5. 나이 : 게실 질환은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대장의 동맥경화가 진행되어 탄력성이 떨어지고 혈관과 장관의 근육 사이에 틈이 생기고 차차 넓어지면서 발생합니다.